DESIGN TWO MASTER
logo
cafecafe네이버톡톡
카페
음식점
뷰티샵
학원
전시매장
일식점
반찬전문점
베이커리
도면
기타
INTERIOR DESIGN GROUP

[D2M] 인테리어 투시도는 단순한 그림이 아니다

[D2M] 인테리어 투시도는 단순한 그림이 아니다

 

 

상업 공간 인테리어를 진행하다 보면, 늘 같은 질문을 받습니다.

“이 디자인이 실제로 어떻게 구현될까요?”

그 질문에 가장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답변은 바로 ‘투시도’입니다.

디자인은 말이 아니라 이미지로 설득해야 한다

 

 

 

 

 

디자인은 본질적으로 추상적입니다.

색상, 질감, 조명, 동선… 이 모든 요소는 머릿속에만 존재할 때 오해를 낳습니다.

클라이언트가 도면만 보고 전체 공간을 상상하기란 쉽지 않습니다.

그렇기에 D2M 인테리어는 투시도를 단순한 시각 자료가 아닌, 설계의 언어로 사용합니다.

투시도는 디자이너의 의도를 시각적으로 번역해주는 도구입니다.

공간의 분위기, 재료의 질감, 조명의 흐름까지 실감나게 표현되며, 클라이언트는 시공 전부터 자신의 매장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브랜드를 공간에 녹여내는 가장 현실적인 방법

상업 공간은 단순한 인테리어가 아닙니다.

브랜드의 철학과 고객 경험이 녹아든, 하나의 전략적 플랫폼입니다.

투시도는 브랜드 컬러, 로고 위치, 간판 조도, 가구 텍스처 등 디테일을 설계 단계에서부터 반영할 수 있어,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공간에 자연스럽게 녹여냅니다.

 

예를 들어, 카페 프로젝트에서는 조명의 온도와 위치, 벽면 타일의 패턴, 바닥 마감재의 질감까지 투시도에 담아냅니다.

이러한 시뮬레이션은 단순히 예쁜 그림을 넘어, 브랜드 경험의 설계입니다.

 

 

투시도는 시간과 예산을 절약하는 전략이다

많은 프로젝트에서 시공 후 “이렇게 나올 줄 몰랐어요”라는 말이 나옵니다.

그 말은 곧, 변경 요청과 추가 비용으로 이어집니다.

하지만 투시도를 통해 사전 검토가 충분히 이루어지면, 디자인 확정까지의 시간이 단축되고, 현장 변경이 최소화됩니다.

실제 사례로, 강남 브런치 카페 ‘데일리퍼센트’ 프로젝트에서는 3가지 콘셉트 투시도를 제안해 클라이언트가 직접 비교·선택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그 결과, 디자인 결정이 빠르게 이루어졌고, 시공 과정에서도 예산 낭비 없이 매끄럽게 오픈을 마칠 수 있었습니다.

 

 

 

 

공간의 제약을 이해하고 반영하는 기술력

투시도는 기술입니다.

단순히 예쁜 그림을 그리는 것이 아니라, 현장의 제약 조건을 이해하고 반영하는 설계 행위입니다.

실측을 통해 기둥 위치, 배관 경로, 천장 고바이 등을 정확히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모델링을 진행해야 오류를 줄일 수 있습니다.

D2M 인테리어는 스케치업(Sketchup)과 V-Ray, Enscape 등의 렌더링 툴을 활용해, 마감재의 텍스처, 조명의 그림자, 컬러 팔레트까지 사실적으로 구현합니다.

이러한 디테일은 클라이언트가 재질을 선택하고, 시공 가능성을 판단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합니다.

 

 

 

 

투시도는 공간을 현실로 만드는 첫 번째 단계다

뷰티샵 ‘벨로에스테틱’ 프로젝트에서는 프라이빗한 공간을 중시하는 클라이언트의 니즈를 반영해, 동선 분리, 시야 차단, 조도 조절 등을 투시도에서 시뮬레이션했습니다.

특히 경사 천장을 활용한 조명 설계를 통해, 불필요한 구조 변경 없이 감성적인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었습니다.

이처럼 투시도는 단순한 시각화가 아니라, 공간을 현실로 구현하는 전략적 도구입니다.

 

 

마무리하며....

인테리어 투시도는 도면을 넘어서, 클라이언트와 디자이너가 같은 공간을 바라보게 만드는 공감의 매개체입니다.

실측과 정확한 콘셉트 브리핑을 바탕으로 제작된 투시도는, 오차 없는 시공과 브랜드 경험의 완성도를 높이는 핵심입니다.

D2M 인테리어는 단순히 그림을 잘 그리는 회사가 아닙니다.

실현 가능한 디자인, 브랜드 중심의 설계, 예산과 일정까지 고려한 전략적 인테리어를 통해, 클라이언트와 함께 공간을 현실로 만들어갑니다.

 

  

 

 

 

 

 


 

 

 

첨부파일 다운로드

등록자관리자

등록일2025-09-24

조회수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