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IGN TWO MASTER
logo
cafecafe네이버톡톡
카페
음식점
뷰티샵
학원
전시매장
일식점
반찬전문점
베이커리
도면
기타
INTERIOR DESIGN GROUP

디투엠. 와인바 인테리어 도면 디자인

디투엠. 와인바 인테리어 도면 디자인

 

 

고객이 머무르고 싶어지는 공간, 그리고 브랜드가 빛나는 공간을 만드는 D2M 인테리어입니다. 

상업 공간 중에서도 특히 ‘와인바’는 분위기와 동선, 컬러, 조명 하나하나가 매출과 직결되는 섬세한 영역입니다. 이번 칼럼에서는 와인바 인테리어의 핵심인 도면 디자인을 중심으로, 실제 프로젝트 사례를 기반으로 어떻게 설계 접근이 이루어지는지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분위기를 디자인하는 와인바 도면의 힘

 

와인바는 단순히 술을 마시는 공간이 아닙니다. 와인을 매개로 대화를 나누고, 감성적인 분위기를 즐기고, 때로는 중요한 만남이 이루어지는 공간이죠. 그래서 와인바의 도면 설계는 기능과 감성을 동시에 담아야 합니다.

 

D2M 인테리어에서는 도면 디자인 초반 단계부터 레이아웃 구상 – 동선 계획 – 조명 분할 – 가구 배치 – 마감 스펙까지 하나하나 꼼꼼하게 설계합니다. 예를 들어, 바 테이블과 일반 테이블의 간격은 최소 900mm 이상 확보하여 서버와 고객 모두 불편함이 없도록 하고, 벽면 와인렉은 **전면 노출형(Glass Display)**으로 설계해 제품이 자연스럽게 공간의 인테리어가 되도록 유도합니다.

 

 

또한 CAD 도면에서 **천장 높이(Z값)**까지 반영하여 조명 연출에 필요한 매입형, 레일형 조명의 배치를 정확하게 도식화합니다. 이렇게 하면 시공 단계에서의 오차를 줄이고, 감성적인 분위기 조성에 필요한 요소들이 놓치지 않게 됩니다.

 

 

실사용자를 고려한 레이아웃 설계

 

와인바의 핵심은 동선입니다. 특히 좁은 공간일수록 레이아웃이 모든 것을 결정짓습니다. D2M은 ‘주방과 홀, 그리고 바(Bar) 동선의 삼각구조’를 기본 원칙으로 레이아웃을 구성합니다. 실제 프로젝트 중 한 사례에서는 18평 규모의 협소한 공간을 ‘오픈 키친+바 중심’ 구조로 구성하여, 고객과의 인터랙션을 강화하고 운영 효율성도 극대화한 바 있습니다.

 

홀 좌석 배치는 파티션이나 가베(가벽)를 활용해 시야 분리감을 주되, 전체적으로는 개방감을 유지할 수 있도록 반투명 소재의 철재 프레임+유리 조합을 활용하였습니다. 이러한 가베 설계는 CAD 평면도와 스케치업 3D 모델링으로 사전에 확인하여 클라이언트와의 커뮤니케이션에 오해가 없도록 합니다.

 

 

특히 와인 셀러실이나 냉장 스토리지 공간은 바닥의 고바이(구배)를 최소화하여 물이 고이지 않도록 배수 계획까지 도면상에서 잡아냅니다. 디테일한 설계는 실제 운영에 큰 차이를 만들어냅니다.

 

 

 

조명 설계는 무드의 완성

 

와인바 조명은 말 그대로 공간의 ‘무드’를 결정짓습니다. D2M에서는 조명 설계 시 3가지 기준을 사용합니다

 

기본 조도를 확보하고,포인트 조명을 배치하고.. 

무드 조명으로 감성을 강화하세요. 

 

도면상에서는 조명 위치와 종류를 모두 마킹하며, 특히 천장의 구조나 보(Beam) 위치에 따라 나나메(경사)의 영향을 받는 조명의 투사각도까지 고려합니다. 이러한 설계는 Lux 시뮬레이션을 통해 시공 전에 시각적으로 검토할 수 있으며, 고객과 충분한 피드백을 주고받으며 완성도를 높입니다.

 

 

예를 들어, 바 테이블 위에는 3000K 색온도의 펜던트 조명을 1.2m 간격으로 설치하여 고객의 얼굴이 자연스럽게 밝혀지도록 하고, 벽면 와인렉에는 2700K 간접조명을 매입해 와인병의 실루엣이 강조되도록 설계합니다.

 

 

 

 

 


 

 

첨부파일 다운로드

등록자관리자

등록일2025-09-05

조회수297